언론보도

언론보도

언론에 소개된
JY법률사무소의 이야기를 알려드립니다.
  • img
    형사전문변호사 “ ‘준’이라고 가볍지 않아 ”, 술 취한 상태에서 준강제추행 및 준강간죄 처벌 수위
    형사전문변호사 “‘준’이라고 가볍지 않아”, 술 취한 상태에서 준강제추행 및 준강간죄 처벌 수위


    04f33c1e49ecb10b3de3b7193fd75eb7_92256_1.jpg



    술에 취해 자고 일어났더니 성범죄에 휘말렸다면 어떻게 될까. 특히나 당시 상황에 대한 기억이 명확하지 않고 상대방과 의견이 엇갈리는 경우에 말이다.

    요 근래 가장 화두가 되는 이슈는 특정 상대방이 주취 혹은 수면 상태에 있을 때 행해지는 준강제추행 및 준강간죄다. 저항할 여력이 없는 심신상실 및 항거불능의 상황을 이용해 성적인 접촉을 하는 일련의 행위들은 모두 준강제추행이나 준강간죄에 해당될 수 있다. 이는 흔히 음주 상태에서 성관계를 맺은 이후 해당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등을 연상할 수 있다.

    자발적인 동의 없이 저항이 불가능한 상태를 이용해 간음 또는 추행을 할 시에는 형법 제297조, 제297조의2, 제298조의 예에 의해 처벌받게 된다. 준강간죄 및 준강제추행의 ‘준’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가볍게 처벌 받는 죄로 느껴질 수 있으나 처벌은 전혀 가볍지 않다. 준강간죄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 준강제추행죄는 강제추행죄와 같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다.


    통상적으로 준강간죄나 준강제추행죄와 연관된 사건들을 살펴 보면 음주와 관련된 경우가 부지기수다. 일련의 상황에서 목격자 혹은 증거가 존재하지 않을 시 사건 당사자의 진술에 의존해 수사가 진행되며, 가해자의 입장과 피해자 입장 양 측의 주장이 극명히 어긋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혹여 법률 지식 기반이 얕은 상황에서 수사기관의 심문을 받게 되면 당황하여 적절한 대응 방향을 설정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변호사는 “준강간죄나 준강제추행은 당시의 피해자 상태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 혹은 목격자가 있을 시 원만하게 타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허나 반대의 경우라면 진술에 근거하여 조사가 진행된다. 특히 피해자와 피의자가 모두 만취 상태였다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또한 “만약 관련 죄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으며, 대응 방향을 보다 객관적이고 전략적으로 구상해 나갈 필요가 있다. 강력한 처벌이 뒤따를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b366510a4aacae6403c4f9493e64d63b_3703_1.jpg



    출처 : 디트news24
    2018-10-08
  • img
    형사전문변호사 “동의 하에 촬영했더라도 유포하면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적용”
    형사전문변호사 “동의 하에 촬영했더라도 유포하면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적용”


    63f95c07618248c306fa8fc26146d3ef_89419_1.jpeg



    최근 들어 흔히 ‘몰래카메라’라 불리는 불법 촬영 카메라 범죄가 더욱 횡행하고 있다. 유동 인구가 많은 버스 터미널이나 도서관, 영화관 등 여러 장소에서 몰카로 인한 성범죄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중이다. 각 자자체는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고성능 탐지장비를 운용하는 등 노력을 일삼고 있으나, 사이버수사대에 적발되는 범죄 건수는 나날이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얼마 전에는 지나던 여성의 신체 일부분을 불법적으로 촬영한 뒤, 해당 영상을 웹상에 유포한 특정 피의자가 경찰에 붙잡히면서 화두가 되기도 했다. 피의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보는 척 행동하며 대중교통 탑승을 기다리는 여성들의 신체를 25회에 걸쳐 몰래 촬영했고, 촬영물과 기타 불법영상물 2400여점을 SNS에 게재하는 한편 880여개 사진 및 영상을 판매하기까지 했다.

    언급한 사례 외에도 ‘동의 없는 촬영’ 관련 범죄는 부지기수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연인 간 벌어지는 ‘리벤지 포르노’가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이다. 리벤지 포르노란 복수라는 의미의 ‘리벤지’와 음란물이라는 의미의 ‘포르노’가 결합된 말로, 결별했거나 상처를 준 연인에게 복수하려는 의도로 성관계 동영상을 퍼뜨리는 행위를 일컫는다.

    촬영을 진행할 당시 상대방의 동의가 전제됐다 할지라도, 당사자가 알지 못하게 유포하는 행동은 카메라등이용촬영죄로 강력하게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한번 유포된 사진과 영상은 완벽하게 삭제가 어려워 피해자에게 깊은 상처를 남기기 때문이다.

    몰카를 활용해 불법적으로 촬영물을 남긴 뒤 유포할 시에는 성폭력특례법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저촉된다. 더욱이 금전 목적으로 영리 추구를 분명히 의도하고 관련 촬영물을 온라인-인터넷 상에 유포한 이들의 경우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 3항에 의거해 7년 이하 징역, 혹은 3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성범죄상담센터인 JY법률사무소의 이재용 형사전문변호사는 “연인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리벤지 포르노부터 여러 환경에서 벌어지는 불법 촬영까지, 나날이 불법촬영물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일련의 행위들은 모두 중범죄에 해당하는데, 아직까지 해당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라고 말했다.

    “영상에 등장하는 사람의 동의 없이 촬영을 일삼고, 해당 촬영물을 다른 사람들에게 유포하면 해당 촬영물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피해도 걷잡을 수 없이 퍼지게 된다. 관련 사례로 인해 피해자의 입장에 서게 됐다면 카메라등이용촬영죄 처벌에 대해 믿을 수 있는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얻어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705f7859c6c05c0d6271ba6c89ca722d_33156_1.jpg


    출처 : 디트news24
    2018-09-10
  • img
    급증하는 디지털 성범죄 … 몰카 등 불법촬영물 유포로 인해 등 확실한 초기 대응 필요”

    급증하는 디지털 성범죄 … 몰카 등 불법촬영물 유포로 인해 등 확실한 초기 대응 필요”

    34eedb36b711139140ed2f1086905b8c_63777_1.jpg

    ?

    ?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5월 29일부터 9월 4일까지 진행되는 온라인 상으로 유포되는 불법촬영물, 비공개촬영사진 등 이른바 ‘디지털성범죄 영상물’ 4584건을 적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집중단속 중간결과여서 적발건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성범죄라고 하면 몰카 등 불법촬영물을 유포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불법촬영물을 촬영하고 배포한 경우 성폭력특별법 제14조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의 적용을 받는다. 카메라등 이용촬영죄는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여 카메라나 그 밖에 유사한 기능을 갖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성적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타인의 신체를 촬영한 경우 해당되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그러나 촬영 당시에는 상대방의 동의가 있었다 할지라도 사후에 동의 없이 촬영물을 반포, 판매, 임대, 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상영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유포한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반면 최초 촬영자가 아닌 다운로드 받아서 유포한 경우 음란물유포죄가 적용된다. 음란물유포죄는 음란한 문서, 도화, 필름 등을 반포, 판매, 임대하거나 공연히 전시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범죄다. 인터넷의 발달로 음란물이 급속도로 확산되기 쉬워지면서 2차 피해로 인하여 처벌수위도 계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음란물 유포죄와 혼동되기 쉬운 통신매체이용음란죄는 자기 또는 타인의 성적 욕망을 유발하거나 만족시킬 목적으로 전화, 우편, 컴퓨터, 그 밖의 통신매체를 통해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말, 음향, 글, 그림 영상, 물건을 상대방에게 도달시켰을 때 성립한다.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통신매체이용음란행위는 음란물유포죄와 달리 여러 사람이 볼 수 있는 공연성이 없어도 적용되며, 1:1 채팅이 증거로 인정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주변사람에게 음란한 사진이나 영상을 전달한 경우에도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음란 사이트 링크를 보낸 사람에게 유죄가 선고된 대법원 판례가 있다.?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형사전문변호사는 “인터넷, SNS의 발달로 음란물이 급속도로 확산되기 쉬워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디지털성범죄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형사처벌의 수위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번 유포되면 완전히 삭제하기가 어려운 디지털성범죄의 특성상 상황에 따라 처벌의 근거법령과 수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변호인의 조력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52317b4f7aba647658d191cb812068b2_75580_2.jpg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2018-09-05
  • img
    카톡으로 음란물 전송하는 디지털 성범죄… “통신 매체 이용 음란죄 처벌”

    카톡으로 음란물 전송하는 디지털 성범죄… “통신 매체 이용 음란죄 처벌”

    5be04e3c29385ca1a3e9b44cd28222f7_47906_1.jpg

    ?



    최근 몇 년간 모바일 기기 및 태블릿 PC 등의 비약적인 발전이 이뤄지면서 자연스레 통신 기술도 가시적인 발달을 거듭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핫스팟이나 와이파이 등 언제 어디서든 쉽게 네트워크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이 안정적으로 구축되었다. 이제는 서로 간 원활한 소통은 물론 크고 작은 자료 주고 받기 등 모든 것들이 단시간으로 이뤄지고 있는 중이다.

    이런 양상은 분명 일상의 편안함을 크게 높여 주고 있지만, 여러 가지 부정적인 문제들도 크게 야기하곤 한다. 특히 최근 들어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성적 욕망을 촉발하거나 만족할 목적으로 음란한 말과 영상, 사진 등을 타인에게 전달하는 행위다. 주변인들에게 성적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음란한 사진이나 영상을 상대방에게 문자로 전송한 경우, 음담패설을 전송한 경우를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단순하게 순간적 호기심과 재미를 위해 상대방에게 음란물을 전송하지만, 이 행위가 성범죄라는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스마트폰 등으로 음란물 등을 공유하다가 통신매체 이용 음란죄 혐의로 인해 법적인 처벌을 받게 된 사람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우리나라 형법을 살펴 보면, 통신매체 이용 음란죄는 자신 혹은 타인의 성적인 욕망을 만족시키거나 유발할 목적으로 전화와 우편, PC 등 통신 매체를 이용해 성적 수치심이나 혐오감을 일으키는 행위 자체를 위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 행위로는 말과 음향, 글, 그림, 영상 혹은 물건이 존재한다. 이 사안은 법정형으로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행위 사안은 가볍게 넘어갈 수 있는 법적 사안이 아니며, 처벌을 엄중히 다루고 있는 범죄 중 하나다. 그러므로 사건이 발생한 이후 초기에 조속하게 법률적 조력을 구축해 해결하려는 의지를 가져야 한다.??

    해당 사안과 관련해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형사전문변호사는 “일반적인 성범죄와는 달리 통신매체 이용 음란죄는 용어 자체가 다소 생소해 낯선 인상을 준다. 그렇지만 성폭력특례법에 확실하게 명시되어 있는 성범죄로 처벌이 가볍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대개 사건 자체를 가볍게 보거나 처벌에 대한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피해자의 진술 및 캡쳐사진 등으로도 고소가 가능한 만큼 확실하게 대비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벌금형이나 징역형 등 형사처벌이 가능한 성범죄인 만큼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진지하게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534dbba68984247c411954cbc34b20ad_12531_1.jpg

    ?







    2018-08-29
  • img
    형사 전문 변호사 “준강간죄와 무고죄, 섣부른 판단은 금물”
    형사 전문 변호사 “준강간죄와 무고죄, 섣부른 판단은 금물”

    66d0ba1d8c3927dba345ee8f8e3c3a29_55558_1.jpeg

    ?


    얼마 전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회자됐던 이슈가 있었다. 한 여성이 같은 회사에 근무하는 상사에게 준강간을 당하고, 무고죄로 재판에 넘겨졌다가 다시 무죄를 선고 받은 사건이다. 특정 보도에 따르면 이 여성은 지난 2017년 5월 직장 상사와 술을 마시다가 기억을 잃었고, 만취로 인해 항거 불능한 상태에서 동의 절차 없는 성관계를 가졌다.

    이튿날 여성은 자신의 직장 상사를 강간 혐의로 고소했으나, 직장 상사는 무혐의로 풀려나게 됐다. 직장 상사는 해당 여성을 미리 잡아둔 호텔로 이끌어 성관계를 가졌다는 결정적 혐의를 받았지만, 증거로 제출한 녹음 파일에 성관계에 합의하는 듯한 여성의 음성이 담기며 무혐의를 받았다. 무혐의로 풀려난 직장 상사는 도리어 여성을 무고죄로 고소했다.

    허나 추후 이 판례는 뒤집어졌다. 여성이 직장 상사가 부르는 말에 대답을 못할 정도로 만취상태였다는 정황이 드러났고, 원본 녹음파일에 조작의 흔적이 잡히면서 판결은 정반대로 바뀌었다. 재판부는 준강간 혐의를 받은 직장 상사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원본 녹음파일을 편집했다고 판단, 여성에게 무고죄에 대한 무죄를 선고했다.? ?

    이 같이 판례가 재차 번복됐던 사례가 뜨겁게 이슈화되면서, 준강간 성범죄와 더불어 무고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준강간죄는 대상이 이미 항거 불능 상태에 빠져 있거나 심신 상실의 상태에 빠져 있는 것을 의도적으로 이용해 간음한 경우를 일컫는다. 심신 상실 상태는 만취한 상황, 깊은 잠에 빠진 상황, 기절해 의식을 잃은 상황에서 간음하거나 추행하는 것을 떠올리면 된다.

    무고죄의 경우 타인에게 형사처분 등을 받도록 할 목적 하에 신고한 사실이 객관적 진실에 반하는 허위사실일 시 성립되는 범죄다. 앞서 언급한 이슈에서 직장 상사가 여성을 맞고소한 혐의가 바로 무고죄다.?

    흔히 준강간죄나 추행죄 등 성범죄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가해 혐의자에게 부정적 시선을 던지게 마련이다. 허나 유죄 확정판결을 받기 전까지 무죄로 추정한다는 원칙이 있으므로 가해 혐의자에게 무조건적인 지탄의 시선을 던지는 것은 지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성폭행 피의자가 증거불충분 등으로 불기소처분을 받아 오히려 피해자를 무고죄로 피의자 신분으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피해자는 무고죄 혐의에 대해 유·무죄 판결을 떠나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허위신고를 한 가해자로 낙인 찍혀 한 순간에 가해자가 되고 마는데, 정확한 판결이 나오지 않은 이상 낙인은 금물이다.

    특히 준강간죄의 경우 당시 상대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나 목격자가 존재한다면 다행이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범죄 적용 여부는 상대 여성의 진술에 전적으로 의존해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신빙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면, 무고죄가 성립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두 사항 각각 강간죄 형사전문변호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대해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변호사는 “준강간죄를 비롯해 강간죄 등 성범죄는 중립적인 시각에서 사건을 보려는 노력을 행해야 한다. 무고죄의 경우 역시 마찬가지로 더욱 엄격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하려는 마음가짐 하에 형사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6e94ae8198fe8b265c7adca427f79f9a_59246_2.jpg?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http://www.fntoday.co.kr)
    2018-08-03
  • img
    지하철 성추행, 공중밀집장소추행일까 강제추행일까… 죄명에 따라 처벌 달라져

    지하철 성추행, 공중밀집장소추행일까 강제추행일까… 죄명에 따라 처벌 달라져

    d05083285bf164cbab5cf27724abddac_75780_1.jpg

    ?

    ?

    비가 오던 어느 날, 서울에 거주하는 백숭엽(32세, 가명)씨는 출근하는 길에 무척이나 억울한 일을 당하게 됐다. 평소 애용하던 장우산을 들고 지하철에 탑승해 출근하던 중, 우산의 뭉툭한 손잡이 부분이 앞에 서 있던 여성의 다리에 닿게 되며 갈등이 빚어졌다. 바로 해당 여성이 백 씨를 성추행 범으로 인식해 오해하게 된 것.

    백 씨는 의도치 않게 우산이 닿은 것이며, 자신의 의도와는 전혀 연관이 없음을 주장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여성은 우산이 아닌 특정 신체 부위로 자신의 엉덩이와 허벅지에 접촉했다며 백 씨를 경찰에 신고했다. 결국 백 씨는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죄로 경찰조사를 받게 됐다.

    더운 날씨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인파가 더욱 몰리고 있다. 특히 지하철의 경우 출근과 퇴근 시간은 물론 늦은 시간까지 많은 승객들로 붐비곤 한다. 그렇지만 이용률이 높아 혼잡함이 가중되는 만큼, 사건 사고 발생률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단연 부적절한 신체 접촉으로 불쾌감을 야기하는 지하철 성추행이다. 특히 여름에는 사소한 신체 접촉까지 성추행으로 오인해 신고하는 경우가 잦다.

    지하철 성추행은 일반적으로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에 의거해 강력한 처벌을 받을 수 있는 범죄다. 대중교통수단과 공연·집회 장소 등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서 타인을 추행한 가해자의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그러나 지하철 성추행이 반드시 공중밀집장소추행죄로 처벌받는 것은 아니다. 지하철이라는 공중밀집장소에서 발생하더라도 추행이 일어난 정도와 피해자의 상태 등에 따라 강제추행이 적용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강제추행은 10년 이하 징역 혹은 1천 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무엇보다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강제추행 행위를 저질렀다면 처벌규정은 2년 이상의 유기징역 또는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가중된다. 앞서 언급한 공중밀집장소추행보다 더욱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지하철성추행 사건은 공중밀집장소추행에 해당하는지, 강제추행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처벌의 정도가 달라지는 만큼 사건 발생 초기 단계부터 전문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차분하게 해결하는 움직임을 가져갈 필요가 있다.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변호사는 “고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추행을 했다면 분명 잘못된 일이지만, 뜻하지 않게 억울한 상황을 맞이하게 됐다면 자세한 상황과 당시 주위 환경, 피해자의 연령, 주변 목격자의 여부, 첫 조사의 진술내용 등을 상세하게 파악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는 경험과 노하우가 탄탄한 성범죄 형사전문변호사와 의논해 적절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3a95034696a1334abce777be228b286d_78823_2.jpg

    출처 : 디트news24(http://www.dtnews24.com)
    2018-07-24
  • img
    아동 음란물 소지죄 및 음란물 유포죄, “아청법 전문가와 대응하는 것이 필수”

    아동 음란물 소지죄 및 음란물 유포죄, “아청법 전문가와 대응하는 것이 필수”

    9252c2ee49031d5d11f5f349edb398c6_52435_1.jpg

    ?

    ?

    ?

    최근 몇 년간 온라인 상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성범죄 중 하나가 ‘아동 음란물 소지죄 및 음란물 유포죄’다. 실제로 얼마 전에는 IP 주소 추적이 불가능한 인터넷 환경인 ‘다크웹(Dark web)’을 통해 아동 음란물 제공 사이트를 운영해 온 일당들이 구속 후 송치되며 세간의 시선이 주목됐던 바 있다.?

    그 중에는 아동 음란물 4만 8634개를 소지했다가 적발된 인물도 존재해 현 시점까지도 적잖은 파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를 계기로 경찰청 사이버 안전국 측은 앞으로 더욱 ‘특단의 조치’를 강경히 취할 것이라 입장을 전했다. 특정 온라인 환경에서 아동 음란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는 이용자들에 대해 사이버성폭력 수사팀의 동시다발적 단속 활동을 강화할 것이라 밝힌 것.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동 음란물 소지죄에 대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강력하게 처벌을 적용하고 있다. 음란물 유포죄의 경우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 웹하드 프로그램을 통해 영상을 다운로드하거나 배포 하는 등의 사유로 적발되곤 하며, 일반적인 성폭력법이 아닌 아동청소년 성보호 법률(아청법)에 의거해 과중한 처벌이 내려지게 된다.

    아동 음란물은 단순히 소지만하고 있는 상황이더라도 아청법에 위반되는 중대한 사안이지만, 많은 이들이 아동 음란물을 소지한 사실 자체가 범죄가 된다는 사실을 제대로 주지하지 못하고 있다. 자의적으로 아동 음란물을 내려 받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나, 의도치 않게 소지하거나 유포하게 된 상황에 처했다면 즉각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영화나 게임 등을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2P 사이트’는 아동 음란물을 자신도 모르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가장 위험한 경로다. 통상 다운로드를 진행함과 동시에 업로드까지 이뤄지면서 공유되는 방식이므로 아청법에 의거해 아동 음란물 소지죄와 유포죄가 동시에 성립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

    이에 대해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형사전문변호사는 “최근 들어 뜻하지 않게 P2P 사이트나 웹하드 프로그램을 잘못 이용함으로써 아동 음란물 소지죄 및 음란물 유포죄로 처벌 위기에 당면하는 사례가 상당수 발생되고 있다. 이 때는 관련 문제 해결 경험과 노하우를 풍부하게 지닌 형사전문변호사에게 도움을 청하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이어 “성범죄 사건은 처벌의 여부와 그에 맞는 적합한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법적인 지식과 해결 노하우 없이 개인 스스로 해결해 나가기에는 큰 무리가 따른다. 소지 및 배포 여부와 음란물의 수위 정도, 구체적 대상 등을 전문 변호사와 세밀하게 상의하는 등 확실한 조력을 얻는 것이 권장된다”라고 덧붙였다.

    3e193dd6aa5fb99d6250bb49b7054afb_46873_2.jpg


    2018-06-20
  • img
    "우리는 음란물이 아니다" 상의 벗은 여성들, 고민 커지는 경찰

    "우리는 음란물이 아니다" 상의 벗은 여성들, 고민 커지는 경찰

    ?

    사진=불꽃페미액션 페이스북

    2일 오후 1시경 서울 강남구 페이스북코리아 사옥 앞. 여성단체 ‘불꽃페미액션’ 회원 10명이 도심 한복판에서 “우리는 음란물이 아니다”는 구호를 외쳤다. ‘여자가 더우면 웃통 좀 깔 수 있지’ 등의 팻말을 들고 상의 탈의 퍼포먼스를 시작했다. 근처에서 대기하던 경찰이 “공연음란죄로 체포할 수 있다”며 경고했다. 하지만 회원들은 “저희 몸을 음란한 어떤 행위로 인정하는 거냐. 그래서 공연음란죄로 체포하겠다는 건가”라며 강하게 항의했다. 결국 경찰이 이불로 이들의 몸을 가리는 등 실랑이를 벌인 끝에 10여 분만에 퍼포먼스는 종료됐다.


    ● ‘음란성’ 여부가 사법처리 핵심

    회원들은 시위 목적을 “페이스북이 여성의 나체는 음란물로 규정하고 남성의 사진은 삭제하지 않는 것은 차별”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월경페스티벌’에서 회원들이 상의 탈의하고 찍은 사진을 페이스북이 삭제하고 1개월 계정 정지를 내린 것에 대한 항의 차원이었다.

    이에 경찰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공연음란죄가 되는지 판단이 쉽지 않아서다. 판례에 따르면 ‘음란한 행위’는 ‘일반 보통인의 성욕을 자극해 성적 흥분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쳐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행위’를 뜻한다. 단순히 신체노출이 있다는 것만으로 공연음란죄가 되지 않고, 일시와 장소, 노출부위, 의도 등 종합적인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정환 JY법률사무소 변호사는 “공연음란죄의 판례가 많지 않고 판단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음란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다만 이번 사건은 회원들의 행위와 의도를 고려했을 때 공연음란죄를 적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법리 검토한 후 입건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페이스북, ‘삭제 사진’ 원상 복구

    페이스북코리아 측은 해당 시위가 끝난 뒤 삭제했던 사진을 원상 복구하고 회원들에게 사과의 메시지를 보냈다. 페이스북코리아 관계자는 “해당 게시물이 삭제됐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며 “해당 게시물이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판단해 다시 게시를 허용했다”고 해명했다.

    페이스북 커뮤니티 규정에 따르면 나체와 성적 이미지는 ‘불쾌한 콘텐츠’로 간주해 게시를 금지한다. 그러나 모피 반대 시위처럼 나체를 통해 사회적인 의미를 불러일으키거나 교육·의학적인 이유가 있다면 해당 이미지를 게시할 수 있다. 다만 페이스북코리아 측은 “각 국가별 정서나 법적 허용 수위가 다르기 때문에 정부가 삭제를 요청하면 따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반발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해당 회원들을 처벌해야 한다’는 청원 글이 여러 건 올라와 있다. 대학원생 이모 씨(28)는 “퍼포먼스의 취지가 타당한 측면도 있다. 하지만 문화와 관습법이라는 게 있는데 불특정 다수가 다니는 곳에서 여성이 상의 탈의하는 것까지 허용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말했다.


    구특교 기자 kootg@donga.com
    황규락 기자 rocku@donga.com


    2018-06-04
  • img
    최대 5년 징역, 벌금 1000만원 카메라등이용촬영죄… 형사 전문 변호사 상담이 필수

    최대 5년 징역, 벌금 1000만원 카메라등이용촬영죄… 형사 전문 변호사 상담이 필수

    e4708fde88ee5a128cb1fbf2f743d602_71909_1.jpg

    ?

    ?

    ?

    최근 한 유명 가수가 과거 강남의 한 공용화장실에서 여성을 몰래 촬영하다 적발된 사실이 드러나 큰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해당 사건 이외에도 최근 몰래카메라 범죄(이하 몰카)가 급증하면서 관련 사건들이 사회적으로 조명을 받고 있다.

    몰카 범죄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청의 통계에 따르면 2007년 3.9%(564건)이었던 몰카 범죄는 △2014년 24.1%(6735건) △2015년 24.9%(7730건) △2016년 17.9%(5249건)으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과거 휴대전화를 이용한 몰카 범죄가 성행했다면 요즘에는 넥타이, 볼펜, 물병, 탁상시계, 안경, 벨트 등 수도 없이 많은 초소형 위장카메라 등 범죄 수법도 다양화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몰카 범죄는 현행법 상 카메라등이용촬영죄에 해당,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타인의 사람의 신체’를 촬영한 경우를 말한다. 해당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이 내려진다. 몰카를 찍지 않았더라도 촬영 대상자의 의사에 반해 촬영물을 반포, 판매, 임대, 제공 또는 공공연하게 전시, 상영하는 경우에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죄는 대부분 동의 여부가 필연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며, 이를 두고 법적 논쟁이 치열해지기도 한다. 특히 앞선 판례들을 보면 촬영물의 각도와 찍힌 부위, 촬영 당시 상황 등에 따라 범죄 성립 유무 및 형량이 달라졌다.

    뿐만 아니라 몰카 범죄는 단순촬영에 그치지 않고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이 인터넷에 유포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2차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몰카 피해를 입은 피해자인 경우에는 경찰에 신고 및 변호사 선임을 통하여 피의자의 구속 및 촬영기기, 저장장치를 압수?수색하여 촬영물이 유포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

    실제로 많은 법률 전문가들은 고소 및 경찰조사 등 형사 절차는 스스로 해결해 나가기가 쉽지 않은 만큼 사건 초기부터 형사전문변호사와 상담을 받는 것을 조언하고 있다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변호사는 “최근 몰카와 관련된 사건을 연이어 조명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더욱 무거운 처벌이 선고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전보다 더욱 복잡해진 형사절차나 재판과정은 혼자 해결하기 어려운 만큼 이에 대한 법률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형사전문변호사와 사건 초기부터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aa93b3a78e957937a777f708381468f8_41074_2.jpg

    2018-05-30
  • img
    출퇴근길 버스-지하철 성추행은 공중밀집장소 추행에 해당…대처 방법은?
    출퇴근길 버스-지하철 성추행은 공중밀집장소 추행에 해당…대처 방법은?

    ?

    a9b2f1491b9c308334a89255b86258e4_40853_2.jpg

    ?



    차츰 여름이 다가오면서 기온이 올라가고 옷차림이 가벼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출퇴근길 전동차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환경 등에서 공중밀집장소 추행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공중밀집장소 추행은 버스?지하철 성추행 뿐만 아니라 찜질방이나 공연장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장소에서 타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신체 접촉을 행해 성적 수치심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공중밀집장소 추행은 엄연한 성범죄로 분류되는 만큼 성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1조 (공중 밀집 장소에서의 추행)에 의거해 처벌 받게 된다. 해당 법례에서는 대중교통수단과 공연·집회 장소 등 공중이 밀집하는 장소에서 타인을 추행한 이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돼 있다.

    흔히 아침 출근길이나 저녁 퇴근길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인파가 많아 신체접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중 성적 충돌 조절을 하지 못하거나 성적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고의로 추행을 하는 사례도 존재하지만, 고의성이 없었으나 인파에 밀려서 신체적 접촉이 발생해 억울하게 처벌을 받거나 하는 경우도 왕왕 일어난다.

    해당 범죄는 대개 추행 상황에서 뚜렷한 증거가 남지 않으므로 피해자 측의 일방적 진술을 통해 사건조사 절차를 밟게 된다. 가해자 입장에서는 단순히 벌금형 정도로 끝날 것이라 판단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수사 시 대처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원만한 해결을 노력하지 않는다면 과중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공중밀집장소 추행 범죄는 벌금형 이상을 선고 받을 시 보안 처분이 내려지게 되며, 신상이 공개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신상 공개 절차까지 밟게 되면 취업이나 공적인 상황 등 일정 분야에서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에 많은 법률 전문가들은 사건 해결을 적극 대응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며, 초기 단계부터 형사전문변호사를 선임해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권장한다.

    이에 대해 성범죄상담센터 JY법률사무소 이재용 변호사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더 나아가 신상 공개까지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혼자서 해결하기 보다는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좋다. 사실 관계 여하에 따라 공중밀집장소 추행 처벌에 대한 수위 및 유-무죄 판단이 가려지는 만큼 전문가의 뒷받침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cf66c12bce23647e8ba130f4b6c07174_40961_1.jpg


    2018-05-30
< 41 42 43 44 45 >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용약관
img
[06647]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254, 1401호 (서초동,오퓨런스빌딩)
서초역 1번 출구
TEL : 02 582 4833
FAX : 02-522-1033
사업자 등록번호 : 128-32-34769
copyright © JY법률사무소. All Rights Reserved.

상담전화

02.582.4833

야간/주말/공휴일 24시 상담 가능

광고책임변호사: 대표변호사 이재용